검색결과 리스트
한국에 해당되는 글 3건
- 2017.05.11 독일사람들이 신기해 하는 한국문화 10가지❤ 10
- 2016.11.21 한국과 독일의 문화차이 ❤ 4
- 2016.07.29 Food Sharing ( 푸드 쉐어링 ) - 음식나눠먹기 - 5
글
독일사람들이 신기해 하는 한국문화 10가지❤
독일 유학 . 생활 정보 ❤
2017. 5. 11. 01:39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Hallo ! Guten Tag!
오늘은 독일사람들이(외국인들) 신기해하거나 이해할수 없는 한국문화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.
실제로 이 포스팅을 위해 10명이 넘는 독일인 친구들에게 물었답니다 .
1. 한국은 나이가 중요하다 .
독일뿐 아니라 많은 나라는 나이가 차이가 많이 나도 반말도 할수 있고 친한 친구가 될수 있습니다 . 그래서 오빠.형.언니.누나의 호칭이 재미있고 신기하다고 합니다 .
2. 나이 세는법이 특이하다 .
외국은 태어나면 0살부터 시작하지만 우리나라는 태어나면서 나이 1살을 먹죠. 이걸 이해하는 외국인들은 거의 없습니다 . 저도 그래서 외국인이 나이를 물어보면 만 나이로 얘기하는게 편합니다 . 그렇지 않으면 왜 한국식 나이와 만나이가 다른지 설명을 해야하거든요 ....... ^^;;
3. 국이나 찌개 , 탕 을 다같이 떠먹는게 경악스럽다 .
이곳은 반찬도 따로 자기 그릇에 떠서 먹는 문화이다 보니까 같이 국이나 탕 찌개를 같이 떠먹는 모습을 보고선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합니다 .(물론 따로 떠서 먹는 사람들도 있습니다"바로 나..") 아무튼 더럽다는거죠 ... 그건 저도 동감입니다...
4. 나이 많은 사람이 돈내는 문화가 이상하다 .
이곳은 나이 많은 사람이 내야하는 부담감도 없을 뿐더러
나눠내는게 일상인 이곳은 그런 문화가 이해가 안된다고 합니다 .저도 외국인들 친구들 만나는게 편한이유가 이런부분도 차지한답니다... ^^
5. 식당에서 일하시는 아주머니에게 이모라고 부르는게 이상하다 .
외국인들은 식당에서 우리가 이모라고 부르면 진짜 너의 이모냐고 묻습니다....
단지 친근함의 호칭인데.... ^^ 그리고
독일은 식당이나 레스토랑에 가면 종업원을 절대 부르지 않습니다 . 손짓을 하거나 눈을 마주치면 알아서 다가온답니다 .
6. 식당 , 호프집 , 등등 벨을 눌러 종업원을 호출하는 문화가 재밌다.
이곳 독일은 기다림의 미덕이 필요한 나라입니다 . 위에서 말했듯이 절대 부르지 않고 주문받으러 종업원이 20분후에 와도 , 음식 주문후 30분후에 나와도 , 계산하고 싶은데 종업원이 도통 보이질 않아도 이곳은 절대 재촉하지 않습니다~
7. 한국 먹방이 신기하다.
우선 한국은 먹는거에 많은 관심과 정성을 쏟는거에 신기해 하며 TV 프로그램이나 유투브 , 인터넷 아프리카 TV 에 남이 먹는 모습을 방송으로 사람들이 구경하는걸 보는 모습이 굉장히 재밌다고 합니다. (재밌다는 의도가 긍정적인 방향인지는 모르겠습니다)
8.한국은 외모에 신경을 많이 쓴다.
독일 친구들에게 항상 듣는 얘기들중 ,
"한국사람들은 겉모습을 잘 꾸미는거 같아"
"한국사람들은 옷을 화려하게 또는 알록달록 환한옷을 잘입는거 같아 "
독일사람들 대부분이 자연스럽게 하고다니는걸 선호 하는 사람들이 많은거 같습니다 . 옷도 어두운색을 많이 선호합니다 .독일 길바닥이 울퉁불퉁해서 그런지는 모르겟지만 힐을 신고 다니는 여성도 많지는 않고 , 머리도 스타일 내지 않고 풀거나 묶거나 ~ 화장도 잘 안하고 다닌답니다 .
그런데.... 솔직히 안해도 예쁘다면 저도 그냥 다닐텐데요 ... ^^
저는 워낙 꾸미는걸 좋아해서 항상 화장하고 머리도 웨이브 하고 다니는데 또 다른 이유는 왠지 서양인들이 봤을때 동양인들이 꾸질꾸질하게 다니면 더 무시할까봐 더 잘 꾸미고 다니는 이유도 조금 있답니다 . 이게 다 쓸데업는 이유이긴 하지만 . 그래도 저는 나 자신을 위해서 꾸미는건 95% ^^
9. 한국은 대체적으로 부모에게서 독립이 늦다 .
한국은 부모에게서 독립이 늦습니다.
"나는 20살에 대학때문에 이미 나와서 따로 살고 있는데요 ? "
자취를 해도 부모에게 손을 벌리기 때문에 그건 완전한 독립이 아니죠 , 이게 그런데 우리나라가 완전한 독립을 할수없게 만들죠 ... 등록금도 비싸고 그렇다고 최저임금이 높은것도 아니고 ..
물가가 저렴한것도 아니니 혼자 힘으로 한국에서 독립을 할수가 없죠 ..
그치만 독일은 다릅니다 ... 만 24살까지 국가에서 킨더겔트(Kindergeld)라는 적지않는 보조금(환화로 약 20만원대)이 나온답니다 . 게다가 등록금은 무료에 집이 어려우면 국가에서 장학금(한달씩 약 한화로40만원)을 준답니다.
그리고 자취도 여럿이서 같이 거주하기 때문에 저렴하며 물가도 저렴한데 비해 최저임금이 좋아서 아르바이트 해서 한달 고작 약 50만원정도 버는데도 부족함없이 한달을 잘 살아간답니다.
정말 부러운 나라입니다 ^^ ...
10. 한국은 다 같이 시켜서 나눠먹는다 .
(모든 사진출처 : 네이버
)
저는 뼛속깊이 한국인이기 때문에 독일인 친구들하고 밥을 먹으러 가면 내것을 맛보여 주고 싶어서 조금 떼어서 주면 이상하게 생각하며 "Warum ? (왜)" 라고 묻는답니다. 맛있어서 맛보라고 줬다고 하면 고맙다고 하고 그들의 것은 돌아오지 않는답니다 ^^(이런....ㅆ)
간혹 주는 친구들도 있긴 합니다만 다들 본인것만 먹는게 대부분 ^^
츄스 ~~~~~~~
❤ 하트모양 공감버튼 눌러주세요 ❤
'독일 유학 . 생활 정보 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독일내 대학생의 혜택 및 제도 (임신,출산편)❤ (6) | 2017.06.05 |
---|---|
유도리가 통하는 나라 독일 ? (14) | 2017.05.31 |
독일 나치 시위현장 ! (In 할레) (10) | 2017.05.03 |
독일레스토랑 물은 서비스가 아닌 유로 ! (12) | 2017.04.29 |
독일 할레 추천 레스토랑 ❤ (4) | 2017.04.25 |
글
한국과 독일의 문화차이 ❤
독일 유학 . 생활 정보 ❤
2016. 11. 21. 04:02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Hallo ! Guten Tag !
제가 어느덧 독일에 산지 햇수로 4년차에 접어든답니다 . 독일에 살면서 한국과는 다른점들을 종종 느낄때가 있는데 그런 부분들만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.
1. 독일에는 한국처럼 게임할수 있는 PC방이 없다 .
2. 독일에는 100일 잔치가 없다 .
3. 독일에는 50주년 금혼식을 중요시 한다 .
4. 독일에서 성매매는 합법이다.
5. 독일에는 쉬어가는 러브호텔이 없다 .
6. 독일에선 성인이 된후 이성과의 동거는 부모님께서 흔쾌히 허락한다.
7. 독일은 16살부터 맥주는 허용한다.
8. 독일은 미용을 위한 치료외에 아파서 받는 병원치료는 100 % 보험처리가 된다 .
9. 독일은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 처방전도 보험처리가 된다 .
10. 독일은 아이를 낳아도 결혼은 하지않고 동거만 하는 커플들이 많다 .
11. 그래서 독일은 동거커플도 등록을 하면 부부처럼 인정을 받는다 .
12. 독일은 어딜가나 학생할인이 있다.
14. 독일에서 아이를 낳으면 무조건 보조금(kindergeld)이 나온다 .
15. 독일은 산후조리가 없다 .
16. 독일에선 자식이 부모앞에서 담배를 피워도 무방하다 .
17. 독일은 팁문화다 .
18. 독일은 레스토랑이나 커피숍에 가면 웨이터를 불러선 안된다. 10분 20분이 걸려도 웨이터가 올때까지 기다려야 한다.
19. 독일 직장은 칼퇴근이 당연하며 , 부득이하게 연장근무를 할경우 다른날 빨리 퇴근해도 된다 .
20. 독일 직장은 휴가가 많으며 몰아서 써도 무방하고 직장동료들이나 상사들의 눈치는 전혀 보지 않는다.
21. 회식에 가도 원치않으면 술을 권하지 않는다 .
22. 독일에선 통장이나 카드를 만드는데 한달이 걸린다 .
23. 독일에선 인터넷 설치하는데 한달이상이 걸린다.
24. 독일은 소비자가 아닌 근로자가 왕이다 .
25. 독일은 길거리에서 걸어다니면서 술을 들고 마셔도 이상하지 않다 .
26. 독일 사우나는 누드 남녀 혼탕이다 .
9. 독일은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 처방전도 보험처리가 된다 .
10. 독일은 아이를 낳아도 결혼은 하지않고 동거만 하는 커플들이 많다 .
11. 그래서 독일은 동거커플도 등록을 하면 부부처럼 인정을 받는다 .
12. 독일은 어딜가나 학생할인이 있다.
13. 독일은 부모 자식간에도 연인사이에도 더치페이<각자계산>를 하며 부모나 연인이 내주신다면 감사인사를 꼭 한다 .
14. 독일에서 아이를 낳으면 무조건 보조금(kindergeld)이 나온다 .
15. 독일은 산후조리가 없다 .
16. 독일에선 자식이 부모앞에서 담배를 피워도 무방하다 .
17. 독일은 팁문화다 .
18. 독일은 레스토랑이나 커피숍에 가면 웨이터를 불러선 안된다. 10분 20분이 걸려도 웨이터가 올때까지 기다려야 한다.
19. 독일 직장은 칼퇴근이 당연하며 , 부득이하게 연장근무를 할경우 다른날 빨리 퇴근해도 된다 .
20. 독일 직장은 휴가가 많으며 몰아서 써도 무방하고 직장동료들이나 상사들의 눈치는 전혀 보지 않는다.
21. 회식에 가도 원치않으면 술을 권하지 않는다 .
22. 독일에선 통장이나 카드를 만드는데 한달이 걸린다 .
23. 독일에선 인터넷 설치하는데 한달이상이 걸린다.
24. 독일은 소비자가 아닌 근로자가 왕이다 .
25. 독일은 길거리에서 걸어다니면서 술을 들고 마셔도 이상하지 않다 .
26. 독일 사우나는 누드 남녀 혼탕이다 .
<모든 사진은 네이버와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>
이외에도 문화적 차이는 더 많을텐데 생각나는데 까지만 정리해 보았답니다 ^^
츄스 ~~~~~~~~
흥미롭게 보셨다면
❤ 하트모양 공감버튼 눌러주세요 ❤
'독일 유학 . 생활 정보 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 독일청년의 난민들을 위한 믿을수 없는 프로젝트❤ (2) | 2016.11.24 |
---|---|
우유를 마시면 배가 아프다 ? In 독일 ❤ (3) | 2016.11.23 |
독일의 지역별 크리스마스 마켓 ❤ (0) | 2016.11.19 |
독일에서 기차가 연착됐다면 이렇게 대처하세요 ❤ (2) | 2016.11.10 |
코카콜라 ? NO ! 독일 함부르크 콜라 fritz kola ❤ (0) | 2016.11.08 |
글
Food Sharing ( 푸드 쉐어링 ) - 음식나눠먹기 -
독일 유학 . 생활 정보 ❤
2016. 7. 29. 07:10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Food Sharing 푸드 쉐어링이란? 현재 우리의 먹고 남는 음식물을 줄이고 배고픈 사람들을 위해 길거리에 냉장고 를 설치해 그곳에 재료를 넣어놓는 것 입니다. 그 다음 필요한 사람들이 꺼내쓰는 방식입니다 . 재료 기부라고 해도 좋겠죠 ?
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따로따로 음식 재료 들을 사면 좋겠지만 한꺼번에 구입해야 훨씬 저렴한 제품 들이 많기 때문에 사두고 썪히고 버리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.
내가 쓸만큼 쓰고 배고픈 남을위해 또는 필요한 남을위해 나누는건 어떨까요 ?
이 사진은 현재 독일 함부르크 Goldbekplatz 에서 시행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.
무려 5만 킬로의 음식들이 저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.
우리나라 에서도 광주시 남구 , 오산시 "아름다운 곳간" 등 에서도 이 푸드 쉐어링 사업을 실시하였다고 합니다 .
현재 이러한 운동은 세계 각국의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방법입니다.
어떠세요 같이 동참하러 갈까요 ?
공감눌러주세요 ❤
'독일 유학 . 생활 정보 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독일은 시간을 칼같이 엄수한다 ?? (4) | 2016.07.31 |
---|---|
독일에서 독일 통신사 오투 O2 50%로 할인받아 영화극장가기 ❤ (4) | 2016.07.30 |
독일에서 색다른 경험 예약 히치하이킹 하기 ! (2) | 2016.07.25 |
독일에서 필수 약 추천(내몸 내가 챙기기) ❤ !! (3) | 2016.07.25 |
무조건 독일에서 요금을 내야하는 ARD.ZDF 요금에 대한 모든것 !! (2) | 2016.07.22 |